중국인들이 돈 썼다…‘초유의 위기’였는데 매출 94.5% 오른 이곳



추석 황금연휴 기간 중국인 관광객 특수를 맞아 국내 유통업계가 반색했다. 중국의 국경절(1일)·중추절(6일) 연휴를 맞아 한국을 찾은 중국인들이 편의점으로 몰려들면서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9일까지 알리·위챗·유니온페이 결제액이 전주 같은 요일 대비 94.5%나 늘었다. 이들 결제 수단을 주로 쓰는 중국인들의 매출액이 크게 신장했다는 뜻이다.

품목별로는 빙그레 바나나맛우유의 인기가 가장 많았고, 생수(롯데 아이시스8.0, 제주 삼다수)가 그 뒤를 이었다. 빙그레 딸기맛우유, 오뚜기 진라면 매운맛, 삼양 까르보불닭볶음면 등도 인기 상품 순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롯데 계열 편의점 세븐일레븐도 중국인들의 발길이 잦은 명동·종로 상권 20여개 점포에서 유니온페이, 알리페이 매출이 직전 주 대비 50% 올랐다. 신세계 계열 이마트24도 연휴 기간 알리·위챗페이 결제액이 직전 주 대비 1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GS리테일 편의점 GS25 역시 인사동·종로 등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점포 4곳의 연휴 기간(10월 3~8일) 매출이 직전 주 같은 요일보다 28%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뉴안녕인사동점’은 외국인 손님 비중이 평소 25%에서 연휴 기간 60%까지 올랐다. 이곳은 최근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로 특화 존을 꾸며놓은 전국 8개 점포 중 하나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입국한 중국인은 52만 5396명이다. 전년 동월보다 16.4%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29일부터 중국 단체관광객 ‘유커’(游客)에 대한 한시적 무비자 입국 정책이 시행되면서 중국인들의 방한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편의점 업계는 최근 ‘위기론’이 불거진 바 있다. 그간의 고속 성장 황금기를 뒤로하고 올해 상반기 역성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1분기 편의점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6% 줄며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2분기에는 업계 양강인 GS25와 CU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5%, 4.0% 오르긴 했으나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었다.

위기감이 감돌자 업계는 전략을 일부 수정했다. 점포 수를 과감하게 늘리는 등 ‘양적 성장’에 집중하기보다는, 일부 점포를 폐점하고 대형·고수익 점포로 바꾸는 등 효율성을 키운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업체별 PB(자체개발) 상품 개발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