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친구를 사귀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소개팅 어플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무료로 진심 어린 인연을 찾을 수 있는 소개팅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집에서도 쉽고 편하게 이성 친구를 만날 수 있습니다.

금주 뜻 몰라 지적받은 신입…“왜 기죽이냐” 엄마가 대신 사표

Image



“금주(今週)의 뜻도 몰라 꾸짖었더니, 다음날 어머니가 사표를 들고 회사에 찾아왔다.”

직장 7년 차 여성 A씨는 23일 JTBC ‘사건반장’에 문해력으로 인해 생긴 직장 내 해프닝을 전했다.

A씨는 신입 후배에게 “금주에 회식이 있으니 단체 문자를 보내라”고 지시했다. 그런데 후배는 “회사에서 술 안 마시는 행사가 있느냐”며 되물었다. ‘금주(禁酒)’로 착각한 것이다.

A씨가 ‘금일, 익일, 명일’ 등 기본 단어까지 차근차근 알려주자, 옆에서 지켜보던 부장이 “한 달이나 됐는데 아직도 모르느냐”고 타박했다.

그런데 이날 퇴근 후 후배의 어머니가 전화를 걸어 “사람들 앞에서 기죽여 속이 시원하냐”며 항의했고, 급기야 다음날 회사에 찾아와 자녀 대신 사표까지 냈다. A씨는 “내가 그렇게 잘못한 건가 싶어 어이가 없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문해력의 기본 문제라기보다는 사회생활 태도의 문제”라면서도, 최근 젊은 세대에서 기본 단어조차 해석을 놓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후배에게 “쾌청하다”는 뜻을 알려줬다가 “조선족이냐”는 말을 들었다는 직장인의 사연이 올라왔다.

신입 직원이 ‘쾌청’을 “숙취 없는 상태”로 오해했기 때문이다. 설명을 듣고도 “한자를 잘 안다”며 조선족이냐고 되물어 당혹감을 샀다.

이처럼 ‘금주’를 ‘술 금지’로, ‘사흘’을 ‘숫자 4’로, ‘심심한 사과’를 ‘지루한 사과’로 잘못 이해하는 사례가 잇따르며 사회 전반의 문해력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OECD가 지난해 발표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서도 한국 성인의 언어 능력이 10년 전보다 큰 폭으로 하락해 OECD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6~65세 전 연령대에서 하락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