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받으면 ‘여기’ 차가워진다”…英 연구팀이 확인한 놀라운 생리 현상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이 반응이 우리 몸이 위험을 감지할 때 나타나는 본능적인 생리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13일(현지시간)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영국 서식스대 연구진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코 온도가 평균적으로 3~6도 떨어진다는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29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해 스트레스에 따른 얼굴의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낯선 사람 앞에서 즉흥적으로 연설하거나, 2023에서 17씩 빼는 계산을 요청받는 등 갑작스럽게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됐다.
그 결과, 대부분의 참가자는 코 부위에서 가장 먼저 반응이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받자 코 온도가 3도에서 6도가량 떨어지는 반응이 포착된 것이다.
연구진은 이 현상이 신체가 외부 자극에 대비하기 위해 혈류를 눈과 귀로 집중시키는 본능적 반응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현상은 유인원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성인 침팬지에게 아기 침팬지의 영상을 보여줬을 때 코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했다.
서식스대 연구원 마리안 페이즐리는 “영장류는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숨기는 데는 매우 능숙하다”며 “코의 온도는 그들의 실제 상태를 보여주는 생리적 지표”라고 말했다.
이에 연구진은 유인원 보호구역에서 해당 연구를 적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외상 트라우마를 가진 유인원의 고통과 스트레스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다.
특히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향후 스트레스 내성이나 불안장애 위험 등을 진단·예측하는 기술로 발전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영유아나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운 환자의 심리 상태 등을 관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주 연구자인 질리언 포리스터 교수는 “코 온도가 얼마나 빨리 정상 상태로 돌아오느냐가 스트레스 조절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며 “회복이 지나치게 느리면 불안장애나 우울증의 위험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오는 1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공개 시연을 진행하며 ‘코 온도 기반 스트레스 측정법’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