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친구를 사귀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소개팅 어플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무료로 진심 어린 인연을 찾을 수 있는 소개팅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집에서도 쉽고 편하게 이성 친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운동=심장 소모’ 믿었다간 큰일…속설 완전히 뒤집혔다는데, 뭐길래

Image



운동을 많이 하면 심장을 많이 쓰게 돼 수명이 짧아진다는 속설이 있지만, 호주 연구팀이 정반대의 사실을 밝혀냈다. 실제로는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하루 동안 심장이 뛰는 총 횟수가 훨씬 적으며, 이것이 장수의 비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심장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JACC: 어드밴시스’에 최근 발표된 호주 세인트 빈센트 병원 의학 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하루 동안 심장이 뛰는 총 횟수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선수들의 평균 심박수는 분당 68회였고, 활동량이 적은 사람들은 분당 76회를 기록했다.

24시간으로 계산하면 운동선수는 약 9만 7920회, 비활동적인 사람은 10만 9440회로 집계됐다. 하루 중 격렬한 운동 시간을 포함하더라도 운동선수의 총 심박수는 비활동적인 사람보다 10% 더 적었다.

세인트 빈센트 의학연구소의 라 게르쉬 교수는 “심박수가 하루에 약 1만 1500회나 적다는 것은 놀라운 차이”라며 “운동선수의 심장이 운동 중에는 더 빠르게 뛰지만, 안정 시 심박수가 낮아 이를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설명했다.

낮은 안정 심박수는 건강의 표시일 뿐 아니라 더 나은 건강을 예측하는 지표다. 라 게르쉬 교수는 안전하게 신체 활동을 늘리면 심장 기능이 개선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운동은 정신 건강 향상, 수명 연장, 심장 질환 감소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덧붙였다.

극한 지구력 경기는 일시적으로 하루 심박수를 높일 수 있지만,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의 이점이 위험을 훨씬 능가한다는 게 라 게르쉐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건강 효과가 가장 큰 건 운동하지 않던 상태에서 적당히 건강해지는 것”이라며 “일주일에 몇 시간만 운동해도 심장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수명을 몇 년 연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