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친구를 사귀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소개팅 어플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무료로 진심 어린 인연을 찾을 수 있는 소개팅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집에서도 쉽고 편하게 이성 친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에어팟을 껴야 능률이 올라갑니다”…MZ사원 주장, 연구로 입증됐다

Image



무선이어폰의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기능이 집중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은 외부 소음에 반대되는 파동을 내보내 소음을 상쇄하는 기술로 최근 출시되는 무선 이어폰 대부분이 해당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과 한국교통대 연구팀은 정상 청력을 가진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의 효과를 측정해 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참가자들에게 20초 분량의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5초 안에 사실 여부를 판단하도록 했다.

실험은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무선 이어폰을 끼고 이를 활성화,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각각 5회씩 진행했다. 실험에 사용된 무선 이어폰은 ‘삼성 갤럭시 버즈2 프로’였다.


실험 결과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반응 속도는 1.36초, 정확도는 4.24점이었고 비활성이었을 때는 반응 속도 1.40초, 정확도 3.95점이었다.

연구진은 “과제가 비교적 단순한 평가였기 때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지만 복잡한 과제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야기 청취가 편안했는지 물은 설문 점수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활성화했을 때 71.17점으로 비활성 상태(51.45점)와 비교해 크게 높았다.

또 노이즈 캔슬링 활성화 여부에 따른 뇌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활성화했을 때 전전두엽 대부분의 영역에서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전전두엽은 뇌에서 집중력과 주의력을 담당한다.


연구진은 “조용해진 환경에서는 뇌가 불필요한 소음을 걸러내는 데 에너지를 덜 쓰고, 가벼운 정보처리 영역인 측두엽의 청각피질만으로도 의미 이해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외부 소음이 줄면서 전전두엽이 할 일이 줄어들자 과제 수행에 필요한 뇌의 다른 영역으로 혈류가 재배치된 것”이라며 “뇌가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문일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뇌의 에너지 분배, 집중력 유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는 사람들의 집중을 돕는 도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