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걱정돼서 ‘이 자세’로 잤는데…“치매 위험 커진다” 경고



천장을 바라보고 정자세로 자는 습관이 치매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해외 전문가의 조언이 나왔다.

8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러시아의 뇌 건강 전문가 레프 포므첸코프 박사는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상관없이 옆으로 자는 자세가 뇌 건강에 최적”이라고 말했다.

포므첸코프 박사는 “사람들은 대체로 권장 수면 시간인 8시간에만 집중하지만, 잘 때 머리의 위치가 뇌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뇌의 청소 경로인 글림프계(glymphatic system)의 작용 원리를 꼽았다.

글림프계는 뇌척수액이 뇌 조직에 쌓인 독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만약 뇌 속 노폐물이 제거되지 않고 축적되면 알츠하이며병 등 치매의 발병 위험이 커진다.


포므첸코프 박사는 “옆으로 누워 자면 중력이 뇌척수액 순환을 도와 유해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만든다”고 했다. 이어 “유해 단백질은 오랜 기간에 걸쳐 쌓이면 알츠하이머병 발병으로 이어진다”고도 했다.

수면 중에는 뇌세포 사이 공간이 평소보다 60%가량 넓어져 뇌척수액이 더 잘 흐른다. 반면 천장을 바라본 자세로 자게 되면 뇌의 특정 부분을 압박해 뇌척수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천장을 향해 정자세로 자는 습관은 관절 통증 예방에 좋다는 이유로 그간 권장됐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목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반대로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려 자면 척추를 휘게 만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포므첸코프 박사는 치매와 척추 질환을 모두 예방할 수 있는 수면 자세를 제안했다.

그는 “옆으로 누워 잘 때 무릎 사이에 작은 베개를 끼워서 엉덩이와 척추를 올바르게 정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자는 동안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 뒤에 또 다른 베개를 놓아두는 것도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