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친구를 사귀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소개팅 어플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무료로 진심 어린 인연을 찾을 수 있는 소개팅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집에서도 쉽고 편하게 이성 친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슈카, ‘편집자 실수’ 한 번에 ‘일베 낙인’ 억울…“이제 저널리즘 채널로 간다”

Image



구독자 361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를 운영하는 ‘슈카’(본명 전석재)가 ‘일간베스트’(일베)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합성 로고를 사용해 최근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그는 편집 직원의 실수였을 뿐이라고 재차 해명하며 이 사안을 과장해서 보도한 언론을 비판했다. 동시에 앞으로 슈카월드의 정체성을 저널리즘에서 찾겠다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슈카는 지난달 30일 유튜버 김성회와 함께 유튜브 채널 ‘머니코믹스’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이날 김성회는 최근 슈카가 휘말렸던 ‘일베 합성 로고’ 논란을 언급하며 “혹시 일베 아니죠”라며 말문을 열었다. 이에 슈카는 “내 평생 그 사이트를 한 번을 들어가 본 적이 없다. 한 번을. 한 번도 들어가 본 적이 없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앞서 슈카는 지난달 28일 라이브 방송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유엔 기구를 탈퇴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국제 이슈를 설명하던 도중 세계보건기구(WHO) 로고를 자료화면으로 내보냈다. 하지만 이 로고는 노 전 대통령을 비하할 목적으로 일베에서 제작·유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짜 WHO 로고였다.

슈카월드는 문제를 인지한 직후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고 다음 날 재편집된 영상을 올리면서 해명문을 남겼다.

슈카월드는 “금주 라이브 중 악의적으로 조작된 이미지가 송출되는 불미스러운 사고가 있었다”며 “해당 이미지는 교묘하게 조작되어 있어 리서치 팀의 1차 검수와 저의 2차 검수 과정에서도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불편을 드린 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김성회는 해당 논란을 두고 “이건 재수가 없는 거다. 일베를 숨겨놨다길래 어디에 숨겨 놓았나 하고 찾아봤는데 찾고 싶어도 못 찾겠더라”고 말했다. 슈카는 “내가 만든 것도 아닌데”라고 소리치며 편집 직원의 실수로부터 비롯된 문제였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슈카는 자료 화면 실수를 다수 언론에서 과장해서 보도한 바에 대해 분노했다.

슈카는“자료 틀린 것을 갖고 언론은 슈카 일베라는 헤드라인을 뽑더라. 요즘에 그렇게 뉴스가 없나”라며 “내가 말한 것도 아니고 자료 만드는 쪽에서 실수해서 나온 건데 너무 악의적으로 뽑더라. 많은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 언론이 갈 데까지 갔구나 싶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내 평생 일베든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사람들이 많이 가는 커뮤니티에 접속한 적이 없다”고 재차 강조하며 “자료 실수 한 것 가지고 사람 하나 이렇게 만드는 걸 보면서 유튜버를 계속해야 하나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며 회의감을 나타냈다.


특히 슈카는 향후 자신의 유튜브 채널의 정체성을 저널리즘에 두겠다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슈카월드 채널 설명을 10년 전에 썼다. 한 번도 바꾸지 않았다. 채널의 정체성이자 모토는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고 남을 비난하면서 돈을 벌지 않겠다’였다”며 “이번에 ‘저널리즘을 따라가겠다’고 채널 설명을 바꿨다. 내 성향이나 이해관계에 따르지 않고 저널리즘을 가는 채널을 할 테니까 뭐라고 할 테면 해라”라고 힘주어 말했다.

실제 슈카월드 채널 설명에는 ‘저널리즘을 지키는 채널이 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는 상태다.